본문 바로가기
개념서/Web

[Web] 시작하기

by 사서T 2022. 6. 3.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은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하다는 '인터 네트워크'라는 의미로, 이제는 전 세계 사람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여러 컴퓨터가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망을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하며,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이루어진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은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이다.

 

<특징>

  • 익명성
  • 다양한 포맷(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으로 통신 가능
  • 쌍방향 통신 제공

웹(Web)

   웹은 전자 우편이나 파일을 통한 전달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여, 공통된 공간에 각자의 정보를 올리고 관리할 수 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 사용자는 자료를 일방적으로 전달받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생산하고 참여하는 집단 지성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웹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이라고도 불린다. 웹에서 HTML 언어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웹 페이지(web page)라고 하며, 서로 관련된 웹 페이지들의 집합을 웹 사이트(web site)라고 한다. 웹은 이렇게 작성된 웹 페이지들이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 하이퍼링크를 따라 다른 웹 페이지들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웹 서핑(web surfing), 웹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 한다.

 

<특징>

  •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공한다.
  • HTML 언어를 사용하여 누구나 문서 작성이 가능하며, 작성된 문서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누구나 검색 및 접근이 가능하다.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들 간에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인터넷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인터넷 시스템이라고 하며, 인터넷 시스템은 수많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를 의미한다. 웹 서비스에선 웹 서버라고 부르며,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웹 서버는 HTTP 서버이다.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 웹 서버는 하드웨어가 아닌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가져오거나 웹 서버로 정보를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불러와 화면에 출력해 준다. (ex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


프로토콜(Protocol)

   사람과의 대화에서도 사용할 언어나 장치 등을 일치시켜야 하듯이 컴퓨터끼리 정보 교환할 때도 데이터의 형식이나 통신 순서 등을 미리 일치시켜야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끼리의 정보 교환을 위해 미리 정의해 둔 네트워크 통신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웹에서 사용되는 HTTP, 파일 전송에 사용되는 FTP 등이 있다.


IP(Internet Protocol address) 주소

   IP 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식별 번호로, IPv4IPv6의 주소 체계가 같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구글이나 유튜브 등의 웹 서비스에 접속할 때 주소창에 식별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www.youtube.com'과 같이 입력한다. 이를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고 하며 사람이 외우기 어려운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주소이다. 이러한 도메인 네임은 IP 주소처럼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호스트명이 된다.

 

   도메인 네임은 사람을 위한 주소이기 때문에 컴퓨터는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메인 네임을 다시 IP 주소로 변환해줄 필요가 있고 이때 DNS(Domain Name System)이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웹의 동작 과정

출처:http://www.tcpschool.com/webbasic/works

 

   웹이 어떻게 동작하는 지 흐름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한다.

2. URL 주소의 도메인 네임 부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DNS 서버에서 찾아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3.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달받은 IP 주소와 URL 정보로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4.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를 TCP 프로토콜을 이용해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한다.

5.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달받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한다.

6. 웹 서버는 변환된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아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7. HTTP 응답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이용해 원래 컴퓨터로 전송된다.

8.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HTTP 응답 메시지를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9. 웹 브라우저는 변환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Q&A

Q. 인터넷이란?

A.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이다.

 

Q. 웹이란?

A.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Q. 웹 서비스란?

A.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들 간에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Q. 서버와 클라이언트란 무엇인가?

A. 서버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Q. 프로토콜이란?

A. 컴퓨터끼리 정보 교환을 할 때 미리 정의해 둔 네트워크 통신 규약으로 TCP/IP, HTTP, FTP 등이 있다.

 

Q. IP 주소란?

A.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식별 번호이다.

 

Q. 도메인 네임이란?

A.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이해하기 쉬운 문자들의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다.

 

Q. 웹의 동작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A.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DNS 서버로부터 찾은 후 URL 정보와 찾은 IP 주소를 이용해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HTTP 요청 메시지는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웹 서버로 이동한 뒤 URL 정보로 변환된다. 웹 서버는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찾아 HTTP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래 IP 주소로 전송한다. HTTP 응답 메시지는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된 뒤 웹 브라우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HTTP 변환에선 HTTP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HTTP의 전달에 있어선 TC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참고자료

'개념서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이메일 전송  (0) 2023.02.13
[Web] Multipart/form-data  (0) 2023.02.01
[Web] Web Server & WAS  (0) 2022.08.03
[Web] 정적인 웹 & 동적인 웹  (0) 2022.07.19

댓글